포털(네이버, 다음, 지메일) 메일에 웹메일을 어떻게 연동하나요?
💡 요약 정리
- 먼저 웹메일의 POP3/SMTP 사용설정을 활성화해야 외부메일 연동이 가능합니다.
- 포털 메일의 외부메일(POP3) 설정 값: POP 서버 = webmail.도메인, 포트 = 110, 아이디 = 전체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 = 해당 이메일 비밀번호
- 메일 분실 방지를 위해 '가져온 메일(사본)을 서버에 남기기' 옵션 사용을 권장합니다.
- 받는/보내는 메일서버 정보는 서비스·서버 별로 다를 수 있으니, POP3/SMTP 사용설정 메뉴에서 실제 서버 정보를 꼭 확인하세요.
1. 연동 전 준비
- 외부메일에 사용 중인 웹메일을 연동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 웹메일로 수신된 메일을 네이버, 다음, 지메일 등 포털 메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타 메일 서비스의 경우 연동 메뉴는 다를 수 있으나, 입력해야 하는 정보값은 동일합니다.
웹메일에 설정된 메일 계정은 보안상 기본적으로 POP3/SMTP 사용설정이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아래 경로에서 활성화 후 연동하세요.
- 경로: 웹메일 사용자 > 환경설정 > POP3/SMTP 사용설정
- POP3/SMTP 기능을 사용 설정한 뒤, 포털 메일에서 외부메일(POP3) 계정을 추가하세요.
2. 네이버 외부메일 설정하기
- 경로: [환경설정] > [외부메일 가져오기] > [직접입력]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연동됩니다.
-
직접입력: webmail.도메인 (POP 서버)
-
연결포트: 110
-
아이디: 메일주소
-
비밀번호: 이메일 비밀번호
-
가져온 메일 원본: 남기기
-
외 선택사항은 필요에 따라 직접 설정해 주세요.
3. 다음 외부메일 설정하기
- 경로: [환경설정] > [계정관리] > [직접입력]
입력값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계정: 메일주소
- 비밀번호: 메일 비밀번호
- POP3 서버 정보: webmail.도메인
- 연결포트: 110
▶ 받는 메일서버 / 보내는 메일서버는 각 서비스 및 서버 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 꼭 POP3/SMTP 사용설정 메뉴를 통하여 이용하시는 서버 정보를 먼저 확인하신 뒤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4. 구글(지메일) 외부메일 설정하기
- 경로: [설정] > [계정 및 가져오기] > [메일 및 주소록 가져오기]
4.1 1단계: 다른 이메일 계정에 로그인
-
이메일 주소 전체를 입력합니다.
-
POP 사용자 이름: 전체 이메일 주소
-
POP 서버: webmail.도메인주소
-
포트: 110
▶ 받는 메일서버 / 보내는 메일서버는 각 서비스 및 서버 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 꼭 POP3/SMTP 사용설정 메뉴를 통하여 이용하시는 서버 정보를 먼저 확인하신 뒤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4.2 2단계: 가져오기 옵션
- 계정 추가가 완료되면 가져오기 옵션이 노출됩니다.
- '가져온 메일의 사본을 서버에 남겨둡니다.'를 체크하면 웹메일 계정에 메일 원본이 유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