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가이드] 연결한 도메인을 타사 호스팅, 메일에 연결하고 싶어요?
💡 요약 정리
- 카페24 네임서버로 등록된 도메인만 카페24에서 DNS 값(A, MX, CNAME, SPF, TXT, SRV) 변경이 가능합니다.
- 네임서버가 타사라면 카페24에서 DNS 변경이 불가하므로 해당 업체의 관리자 화면에서 설정하세요.
- 호스팅과 메일은 별개 서비스입니다. 한 도메인으로 외부 메일과 카페24 호스팅(또는 그 반 대) 조합 사용이 가능합니다.
- 외부 메일(Naver/Daum/Gmail) 연결 시, 메일업체가 제공한 레코드 값을 정확히 확인해 등록하세요.
- 아래 동영상과 ‘도메인 관리’ 바로가기를 통해 단계별로 쉽게 설정 가능합니다.
1. 시작 전, 네임서버를 먼저 확인하세요
- 네임서버가 카페24가 아닌 경우, 카페24 관리메뉴에서 DNS 변경이 불가합니다. 먼저 네임서버 상태를 확인하세요.
- 현재 타사 네임서버를 유지해야 한다면, 해당 업체의 관리자 메뉴에서 DNS 변경을 진행해야 합니다.
- 카페24 네임서버 여부는 ‘나의 서비스 관리 > 도메인관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 도메인 DNS 설정
바로가기 : 네임서버 변경
- 도메인의 현재 네임서버 상태를 확인한 뒤, 카페24에서 DNS를 관리할지 여부를 결정하세요.
2. 카페24에서 설정 가능한 DNS 종류
- 제공되는 DNS 유형: A 레코드, MX 레코드, CNAME, SPF, TXT, SRV
- 호스팅 서비스와 웹메일 서비스는 별개입니다.
- 예: 한 도메인으로 카페24 호스팅 + 타사 메일, 또는 타사 호스팅 + 카페24 메일 등 조합 가능
3. DNS 레코드별 설정 방법
① 호스트 IP(A 레코드) 관리
- 도메인이 호스팅과 연결되어 있으면 기본적으로 서버 IP가 A 레코드로 설정됩니다.
- 기본 IP를 다른 값으로 바꾸려면, 기존 호스팅과의 연결을 먼저 삭제해야 합니다.
- 추가로 2차(서브) 도메인을 연결하려면 A 레코드를 추가하세요.
예시:
blog.test.com IN A 123.123.123.123
- 이미 2차 도메인(예: aaa.abc.com)의 A 레코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1차 도메인(abc.com)의 A 레코드는 추가할 수 없습니다. 2차 도메인 A 레코드를 삭제한 뒤 1차 도메인 A 레코드를 설정하세요.
② 메일서버(MX) 관리
- 도메인 또는 서브도메인으로 송수신되는 메일서버 주소(MX)를 설정합니다.
- MX 값을 변경/삭제/수정하면, 기존에 설정된 메일서버 이용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외부 메일(Naver/Daum/Gmail) 연동 시, 해당 메일업체에서 제공한 레코드의 필수 등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 포털별 MX 설정 메뉴를 통해 간편 등록이 가능하며, 직접 값 입력도 가능합니다.
- 포털사의 정책에 따라 MX 서버 주소와 우선순위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카페24의 기본 최우선순위는 "10"입니다. 여러 개의 MX 값을 추가할 경우, 우선순위 숫자를 서로 다르게 입력하세요.
- MX 레코드 삽입이 실패하면, 동일한 우선순위로 이미 등록된 값이 있는지 확인하고 삭제/수정 후 다시 등록하세요.
- uxx64-000.cafe24.com, mw-00x.cafe24.com 등 cafe24.com으로 끝나는 메일서버는 카페24 호스팅 연결 시 기본 제공되는 POP3 무료 메일서버입니다. 외부 웹메일의 MX 레코드를 등록하려면, 해당 기본 MX 레코드를 먼저 삭제해야 할 수 있습니다.
③ 별칭(CNAME) 관리
- 도메인 또는 서브도메인의 별칭을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한 별칭은 실제 도메인으로 연결됩니다.
예시:
cname.test.com IN CNAME blog.test.com
- 위 설정 시, cname.test.com으로 접속하면 blog.test.com으로 연결됩니다.
- [.cstest.com IN CNAME cstest.com]에서 별표()는 모든 서브도메인을 의미합니다. 즉, 임의의 서브도메인으로 접속 시 실제 도메인 cstest.com으로 이동합니다.
④ SPF 관리
- SPF 레코드는 해당 도메인을 대신해 이메일을 발송할 수 있는 승인된 호스트명 또는 IP 주소를 나열합니다.
- IP 주소를 입력하면 TXT 레코드에 다음 형식으로 등록됩니다: v=spf1 ip4:IP주소 ~all
예시:
test.com v=spf1 ip4:123.123.123.123 ip4:122.122.122.122 ~all
- IP를 여러 개 등록하려면 입력 박스에 다음 형식으로 공백 구분해 입력하세요: ip4:123.0.0.0 ip4:123.0.0.1
⑤ TXT 관리
- TXT 레코드 값을 등록/수정/삭제할 수 있습니다.
예시:
cafe24test.shop MS=79BBFB205ABC8FB7C4928D6BD11BD8A41E5C1F3F
- TXT 레코드가 253자를 초과하면 입력할 수 없습니다.
- 제공사에 domainkey를 2048bit가 아닌 1024bit로 생성 요청하면 253자 이내로 생성 가능할 수 있습니다.
- 또는 값을 253자 이내로 두 번으로 나눠 각각 등록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⑥ SRV 관리
- SRV(Service locator) 레코드는 특정 서비스를 호스팅하는 컴퓨터를 식별하는 리소스 레코드입니다.
- SRV 서비스 이름은 반드시 밑줄(_)로 시작해야 합니다. 예: _ldap, _ftp, _smtp
- SRV 값 설정 관련 예시 화면을 참고해 정확히 입력하세요.
SRV 유형 입력 예시 (1)
SRV 유형 입력 예시 (2)
정상 입력 완료 예시
4. 외부 메일(Naver/Daum/Gmail) 연결 빠른 체크리스트
- 메일업체에서 제공한 MX, SPF, TXT(도메인 소유확인/DMARC/DKIM 등) 값 확보
- 카페24에 기본 제공된 메일 MX가 있다면 삭제 후 외부 MX 등록
- MX를 여러 개 등록하는 경우, 우선순위 숫자를 서로 다르게 설정
- 설정 저장 후, 메일 송수신 테스트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