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서버 설정을 위한 호스트 등록은 어떻게 하나요?
💡 요약 정리
- 보유 도메인으로 자체 네임서버(ns1.example.com 등)를 쓰려면 먼저 등록기관(시행사)에 호스트를 등록해야 합니다.
- 경로: 나의 서비스 관리 > 도메인 관리 > 도메인 부가 서비스 > 네임서버 호스트 관리
- 일반 DNS 레코드(A, CNAME 등) 추가는 네임서버 호스트 관리가 아닌 DNS 관리에서 진행합니다.
- 등록 완료 후 실제 반영 까지 24~48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1. 호스트 등록이란?
- 호스트 등록은 보유한 도메인으로 자체 네임서버를 구축할 때, 그 네임서버(ns1.example.com, ns2.example.com 등)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등록기관(시행사)에 미리 호스트 정보를 등록하는 절차입니다.
- 이 작업을 먼저 완료해야, 해당 도메인을 네임서버로 지정해도 올바르게 인식됩니다.
2. 등록 절차
2.1 메뉴 이동
- 나의 서비스 관리 > 도메인 관리 > 도메인 부가 서비스 > 네임서버 호스트 관리
- 이 기능은 도메인을 네임서버로 사용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 네임서버 등록 목적이 아닌, 서브도메인의 A 레코드 추가 등 일반 DNS 변경은 DNS 관리에서 진행해 주세요.
- 네임서버 호스트 관리 메뉴에서 호스트 등록 진행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2 호스트 등록 화면 열기
- 해당 페이지에서 도메인을 선택한 뒤 [호스트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 선택한 도메인에 대해 호스트 등록 팝업/화면이 열립니다.
2.3 정보 입력 및 등록
- 화면 안내에 따라 순서대로 입력합니다.
- 호스트명: 예) ns1, ns2
- 연결 IP 주소: 각 호스트가 가리키는 네임서버의 고정 IP
- 입력 완료 후 등록을 진행합니다.
- 등록 직후에도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기까지는 전파(전달) 시간이 필요합니다. 실제 반영까지 24~48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3. 유의사항
- 네임서버 호스트 관리는 “자체 네임서버 구축”을 위한 메뉴입니다. 단순히 서브도메인을 다른 서버로 연결하는 작업(예: blog.example.com A 레코드 추가)은 반드시 DNS 관리에서 진행하세요.
- 호스트명과 IP 입력 시 오탈자 또는 잘못된 IP를 입력하면 네임서버 동작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등록 전에 정보를 다시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