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서버(VPS) 서버 접속이 안되는 경우 어떻게 하나요?
💡 요약 정리
- 나의서비스관리 > 서버원격관리에서 서버를 재부팅한 뒤 접속을 다시 시도합니다.
- 나의서비스관리 > 방화벽 관리에서 INBOUND 접근정책(외부→내부)에 현재 PC의 IP와 필요한 포트가 허용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접속 PC의 IP는 ip 확인 사이트에서 확인하거나 방화벽 관리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모두 조치했는데도 접속이 안 되면 root/Administrator 계정의 접속 정보를 포함해 점검을 요청해 주세요.
1. 서버 재부팅 후 접속 재시도
- 경로: 나의서비스관리 > 서버원격관리
- 전원 On/Off 기능으로 서버를 재부팅한 뒤 접속 상태를 확인합니다.
- 리눅스는 SSH(원격 명령 연결), 윈도우는 RDP(원격 데스크톱) 등으로 다시 접속을 시도해 주세요.
- 재부팅 중에는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습니다.
2. 방화벽(INBOUND 접근정책) 설정 확인
- 경로: 나의서비스관리 > 방화벽 관리
- INBOUND 접근정책(외부에서 내부로 접근)에서 접속에 필요한 포트가 열려 있고, 현재 접속 PC의 IP가 허용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예) 리눅스 SSH: 포트 22, 윈도우 RDP: 포트 3389 등
- 접속 PC의 IP 확인 방법
- 외부 IP 확인 사이트: http://ipconfig.kr
- 또는 방화벽 관리 화면에서 현재 접속자 IP 확인 기능을 이용합니다.
3. 모두 조치했는데도 접속이 안 될 때
- 위의 재부팅 및 방화벽 설정을 모두 확인했음에도 접속이 불가하다면, 아래 정보를 포함해 점검을 요청해 주세요.
- root(리눅스)/Administrator(윈도우) 계정으로 접속 가능한 정보
- 서버 IP, 사용하는 접속 방식(SSH/RDP), 포트 번호
- 문제 발 생 시간과 오류 메시지(가능하면 화면 캡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나요?
위 방법으로도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 아래 정보를 포함하여 1:1 문의로 전달해 주시면 서버 내부 특이사항 유무를 점검해 드리겠습니다.
-
카페24 아이디
-
서비스명(가상서버/VPS 상품명) 및 서버 IP
-
접속 방식과 포트: 예) SSH 22, RDP 3389
-
root/Administrator 계정 접속 정보(임시 비밀번호 포함)
-
문제 발생 시간, 오류 메시지 및 화면 캡처
-
지금까지 시도한 조치: 재부팅, 방화벽 IP/포트 허용 여부 등
-
바로가기 : 1:1 문의게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