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서버에 세팅한 메일서버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나요?
💡 요약 정리
- 나의 서비스 관리 > 서버관리 > 방화벽관리에서 메일 전송/수신 포트를 확인하고 정책에 추가하세요.
- 주요 포트: 25, 587, 465, 110, 995, 143, 993 (SMTP/POP3/IMAP 계열)
- 포트 25는 ISP가 스팸 방지 목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방화벽 설정 On 시 기본 정책 허용 처리되어 있습니다.
- 구축한 메일 솔루션에 맞 게 방화벽 설정을 적용한 뒤 메일 송수신을 다시 점검하세요.
1. 먼저 확인하세요: 방화벽에서 메일 포트 허용
가상서버(VPS)에 직접 메일서버를 설치해 사용 중 동작이 원활하지 않다면, 나의 서비스 관리 > 서버관리 > 방화벽관리에서 SMTP/POP3/IMAP 관련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 시 방화벽 정책에 추가해야 합니다.
- 구축하신 메일 솔루션(예: Postfix, Exim, Dovecot 등)에 맞게, 나의 서비스 관리에서 방화벽 설정을 추가한 뒤 서비스를 다시 확인하세요.
방화벽 설정 방법은 아래 FAQ를 참고해 주세요.
- 바로가기 : 방화벽 설정 가이드
2. 메일서버 관련 주요 포트 목록
- 포트 25 (SMTP)
- 서버 간 이메일 전송에 사용하는 기본 SMTP 포트입니다.
- 종종 스팸 방지 목적으로 ISP에 의해 차단되기도 합니다.
- (방화벽 설정 On할 경우 기본으로 정책허용 처리 되어있음)
- 포트 587 (SMTP Submission)
- 클라이언트(사용자)가 메일을 발송할 때 사용하는 포트입니다.
- TLS(STARTTLS)를 통한 암호화를 일반적으로 권장합니다.
- 이메일 전송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트입니다.
- 포트 465 (SMTPS)
- SSL을 사용하는 SMTP 포트입니다.
- 과거에 사용되던 포트로 현재는 587로 대체되었지만, 일부 서비스에서는 여전히 지원됩니다.
- 포트 110 (POP3)
- 메일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메일을 다운로드할 때 사용하는 POP3 포트입니다.
- 이메일을 로컬로 내려받고 서버에서 삭제하는 방식입니다.
- 포트 995 (POP3S)
- SSL을 사용하는 POP3 포트입니다.
- 110과 동일한 동작을 하되, 암호화가 적용됩니다.
- 포트 143 (IMAP)
-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이메일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IMAP 포트입니다.
- 메일을 서버에 저장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포트 993 (IMAPS)
- SSL을 사용하는 IMAP 포트입니다.
- IMAP 연결을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이메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참고 및 주의사항
- 포트 25는 ISP 차단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 발송용으로는 587(STARTTLS 권장)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나의 서비스 관리에서 방화벽 설정을 추가한 뒤, 메일 송·수신 테스트로 정상 동작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