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cached 호스팅은 어떻게 연동하고 활용하나요?
💡 요약 정리
- PHP에서 Memcache(d) 확장 설치 여부를 phpinfo()로 확인합니다.
- 설치가 없다면 PECL 패키지(memcache)로 확장을 빌드/설정합니다.
- XE, 그누보드, 워드프레스, TextCube 각 프로그램 설정 파일에 Memcached 서버 정보를 추가합니다.
- localhost는 Memcached 광호스팅 연결 도메인으로, 11211은 할당받은 포트로 바꿔 입력합니다.
- 연결 도메인/포트는 나의 서비스 관리 > 호스팅관리 > 기본관리 > 서비스 사용현황에서 확인합니다.
“제로보드, 그누보드, WP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연동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1. PHP Memcached 라이브러리 설치 확인
- phpinfo() 함수를 이용해 memcache 설치 여부를 확인합니다.
- phpinfo 출력에서 memcache 섹션이 보이면 설치된 것입니다.
참고: PHP 확장 모듈은 memcache, memcached 두 가지가 있습니다. 본 가이드는 예시 코드 기준이 memcache이며,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memcached를 요구하는 경우 해당 확장을 설치해 주세요.
2. PHP Memcached extension 설치
- PHP Memcached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extension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 wget http://pecl.php.net/get/memcache-2.2.7.tgz
$ tar xvfz memcache-2.2.7.tgz
$ cd memcache-2.2.7
$ phpize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 mv /PHP_설치_디렉토리/lib/php/extensions/no-debug-non-zts-20090626/memcache.so /PHP_설치_디렉토리/lib/php/extensions/
$ php -i | grep php.ini
$ vi /etc/php.ini
extension_dir=/usr/local/php/lib/php/extensions
extension=memcache.so
$ /아파치_설 치_디렉토리/bin/apachectl restart
- 아파치를 재시작한 다음, 1단계를 참고하여 memcache 설치를 다시 확인합니다.
- 주의: 위 경로와 버전(memcache-2.2.7, no-debug-non-zts-20090626 등)은 PHP 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용 중인 서버의 PHP 버전에 맞춰 경로를 확인해 적용하세요.
3. XpressEngine에서 Memcached 사용하기
- XE_설치_디렉토리/files/config/db.config.php 파일에 아래 설정을 추가합니다.
$db_info->use_object_cache= 'memcache://localhost:11211'; // Memcached 호스팅 연결도메인:포트
$db_info->user_template_cache = 'memcache://localhost:11211'; // Memcached 호스팅 연결도메인:포트
- localhost는 Memcached 광호스팅 연결 도메인으로 설정하고,
- 11211은 할당받은 포트번호를 입력합니다.
- 연결 도메인 및 포트는 나의 서비스 관리 > 호스팅관리 > 기본관리 > 서비스 사용현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그누보드에서 Memcached 사용하기
- 그누보드_설치_디렉토리/common.php 파일에서 session_save_path 부분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g4['mhost'] = "localhost";
$g4['mport'] = "11211";
$session_save_path = "tcp://$g4[mhost]:$g4[mport]?persistent=1&weight=2&timeout=2&retry_interval=10, tcp://$g4[mhost]:$g4[mport]";
ini_set('session.save_handler', 'memcache');
ini_set('session.save_path', $session_save_path);
- localhost는 Memcached 광호스팅 연결 도메인으로 설정하고,
- 11211은 할당받은 포트번호를 입력합니다.
- 연결 도메인 및 포트는 나의 서비스 관리 > 호스팅관리 > 기본관리 > 서비스 사용현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WordPress에서 Memcached 사용하기
-
먼저 아래 페이지에서 Memcached Object Cache Plugin을 다운로드합니다.
-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압축을 해제하여 memcached/object-cache.php 파일을
- WP_설치_디렉토리/wp-content/ 에 업로드합니다.
-
파일 업로드가 완료되면, WP_설치_디렉토리/wp-config.php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global $memcached_servers;
$memcached_servers = array('default' => array('localhost:11211'));
- localhost는 Memcached 광호스팅 연결 도메인으로 설정하고,
- 11211은 할당받은 포트번호를 입력합니다.
- 연결 도메인 및 포트는 나의 서비스 관리 > 호스팅관리 > 기본관리 > 서비스 사용현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TextCube에서 Memcached 사용하기
- TC_설치_디렉토리/config.php 파일에서 memcached 설정을 1로 변경합니다.
$service['memcached'] = 1;
- 같은 파일(config.php)에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memcached['server'] = 'localhost';
$memcached['port'] = '11211';
- 필요에 따라 localhost는 Memcached 광호스팅 연결 도메인으로,
- 11211은 할당받은 포트번호로 변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