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Super Cache 플러그인은 어떻게 사용하나요?
💡 요약 정리
- 워드프레스 자동설치 시 WP Super Cache가 함께 설치됩니다.
- 관리자 패널 > 플러그인에서 플러그인을 활성화하세요.
- 사용 전, 설정 > 고유주소에서 짧은 주소(퍼머링크)를 설정해야 합니다.
- 설정 > WP Super Cache > Easy 탭에서 Caching on을 켜면 즉시 캐시가 생성됩니다.
- 속도 개선은 SEO(검색 노출)에도 긍정적입니다. 다만 변경 사항은 캐시 재생성 후 반영됩니다.
1. 설치 및 활성화
- 워드프레스 자동설치를 이용하면 WP Super Cache 플러그인이 자동 설치됩니다.
- 플러그인 활성화 경로:
- 워드프레스 관리자 패널 > 플러그인 > 설치한 플러그인 > WP Super Cache > 활성화
- WP Super Cache를 사용하려면 먼저 짧은 주소(퍼머링크)를 설정해야 합니다.
- 관리자 패널 > 설정 > 고유주소에서 URL 유형을 선택하세요.
2. 기본 사용: Easy 탭 빠른 설정
- 관리자 패널 > 설정 > WP Super Cache > Easy 탭으로 이동합니다.
- Caching 항목을 Caching on으로 설정하면 즉시 정적 캐시 파일이 생성되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활성화 후에는 관리자 패널 > 설정 > WP Super Cache 메뉴에서 세부 설정이 가능합니다.
- Easy/Advanced 탭 등을 통해 캐싱 방법, 만료 시간, 예외 URL 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작동 원리와 기대 효과
- 워드프레스는 방문자가 페이지에 접속할 때마다 PHP와 MySQL을 거쳐 동적으로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이 때문에 표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WP Super Cache는 각 페이지를 정적 HTML 파일로 만들어, 방문자가 동적 페이지에 접근하더라도 미리 생성된 정적 파일로 응답합니다.
- 결과적으로 서버에서 PHP, MySQL의 동적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아 응답 속도가 빨라집니다.
- Google 등 해외 포털은 웹사이트 속도를 검색 순위 요소로 보기 때문에, 플러그인 사용만으로도 검색 결과에서 유리해질 수 있습니다.
- 단, 동적 페이지 변경 사항은 캐시 파일 재생성 시점에 반영됩니다. 설정값에 따라 반영 시점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권장 핵심 설정
4.1 Cache Delivery Method
- Cache Delivery Method - Simple
- 기본적이지만 효과적으로 캐시 파일을 생성합니다. 일반적으로 Simple 권장
- Expert 옵션
- Apache 모듈을 보다 활용하지만 오류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문가가 아닌 경우 권장하지 않습니다.
4.2 Miscellaneous
- Cache Restrictions - Disable caching for logged in visitors.
- 로그인한 사용자(동적 데이터가 자주 바뀌는 이용자)에 대해서는 캐싱을 비활성화합니다.
- Compress pages so they’re served more quickly to visitors.
- 캐시 파일 압축으로 트래픽 절감과 속도 개선 효율을 높입니다.
- Cache rebuild. Serve a supercache file to anonymous users while a new file is being generated.
- 캐시 재생성 중에 접근한 일반 사용자에게는 기존 캐시 복사본을 제공합니다.
- 304 Browser caching. Improves site performance by checking if the page has changed since the browser last requested it.
- 변경 여부를 확인해 304 응답을 활용, 방문자 브라우저 캐시를 적극 사용합니다.
5. Advanced
- Enable dynamic caching.
- 콘텐츠가 자주 변경되는 페이지에 대해 다이나믹 캐싱 파일을 생성합니다.
6. Expiry Time & Garbage Collection
- 서버 내 생성된 캐시 파일의 만료 시간과 점검(정리) 주기를 설정합니다.
6.1 Cache Timeout
- 기본값은 1800초입니다.
- 0으로 설정하면 캐시 파일 재생성을 하지 않습니다.
- 트래픽이 많지 않은 사이트라면 3600초 정도를 권장합니다. 권장: 3600초
6.2 Scheduler
- 만료된 캐시 파일을 확인하는 주기이며, 확인된 캐시 파일은 재생성합니다.
- 정적 페이지(회사소개 등)가 많은 사이트는 캐시 재생성 주기를 길게 잡는 것이 유리합니다.
- 커뮤니티처럼 동적 데이터가 자주 생성되는 사이트는 캐시 재생성 주기를 짧게 잡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7. 캐시 예외 설정
7.1 Accepted Filenames & Rejected URIs
- 캐시 파일을 생성하지 않을 콘텐츠 유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정적 단일 페이지, 프론트 페이지, 태그, 카테고리 등 콘텐츠 성격에 따라 선택 가능합니다.
7.2 Rejected URL Strings
- 캐싱 제외 대상을 URL 값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예: http://domain.com/2022의 콘텐츠를 예외 처리하려면 “/2022/”로 입력합니다.
8. CDN 및 고급 제외 설정
- CDN 서버를 통해 CSS, JS 등 정적 데이터의 트래픽을 분산 처리할 수 있습니다.
- 특정 GET 파라미터가 있는 URL에 대해 캐싱 제외 설정이 가능합니다.
- 지정한 검색 로봇(크롤러)에 대해서만 캐시 제외 등 고급 설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설정 방법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나요?
이 가이드의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았다면, 아래 정보를 포함하여 1:1 문의게시판으로 문의해 주세요.
- 카페24 아이디:
- 문제 발생 도메인:
- 사용 중인 워드프레스 호스팅 상품명(예: 매니지드 워드프레스):
- 적용한 설정 값(스크린샷 첨부 권장):
- 상세한 문제 현상 및 재현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