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초기 설정/관리

단독웹호스팅은 물리 서버 한 대의 자원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일반 웹호스팅처럼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서비스의 핵심 특징과 함께, 신청 후 웹 기반의 '나의 서비스 관리' 페이지를 통해 사이트 운영에 필요한 초기 설정을 진행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1. 단독웹호스팅 서비스 이해하기

단독웹호스팅은 서버 관리의 복잡함 없이 독립된 서버의 성능과 안정성을 원하는 고객에게 최적화된 서비스입니다. 서버호스팅과는 다음과 같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 서버 관리 주체: 서버의 보안 설정, 백업, 시스템 업데이트 등 모든 서버 관리는 카페24의 전문 엔지니어가 담당합니다. 고객은 사이트 운영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 관리자(Root) 권한: root 또는 administrator 권한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서버 설정 파일을 직접 수정하거나 시스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없으며, Windows 버전의 경우 원격 데스크톱 접속도 지원하지 않습니다.
  • 관리 방식: 일반 웹호스팅과 동일하게 친숙한 나의 서비스 관리 웹 페이지를 통해 모든 설정을 제어합니다.

2. 초기 설정 절차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면(영업일 기준 1~3일 소요) 다음 절차에 따라 초기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2-1. FTP 및 DB 정보 확인

웹사이트 파일을 업로드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는 나의 서비스 관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FTP 정보: 나의 서비스 관리 페이지에서 FTP 아이디, 비밀번호, 서버 주소를 확인 후, 파일질라(FileZilla)와 같은 FTP 클라이언트를 이용해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 DB 정보: 나의 서비스 관리 페이지의 DB 관련 메뉴에서 DB명, 아이디,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CMS(워드프레스 등) 설치 시 필요합니다.

유의사항: 단독웹호스팅은 보안상 서버 당 1개의 FTP 계정과 1개의 DB 계정만 제공되며, 추가 생성이 불가능합니다.

2-2. 도메인 연결

나의 서비스 관리 > 호스팅관리 > 도메인 연결관리 메뉴에서 보유 도메인을 연결합니다.

  • 하나의 계정에 최대 30개까지 도메인을 연결하여 동일한 사이트로 접속시킬 수 있습니다.
  • (단, 윈도우 단독웹호스팅은 서브도메인 연결을 5개로 제한합니다.)

2-3. 프로그램 설치

  • **나의 서비스 관리**의 '프로그램 자동 설치' 기능을 이용하면 워드프레스, 그누보드, XE 등 주요 CMS를 클릭 몇 번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3. 트래픽 및 네트워크 관리

3-1. 트래픽 초과 정책

단독웹호스팅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트래픽 초과 시 사이트가 차단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 약정된 네트워크 용량(예: 10Mbps)을 초과하더라도 사이트 접속이 차단되지 않습니다.
  • 초과된 트래픽에 대해서는 월말에 사용량에 따라 후불로 비용이 정산되어 청구됩니다.

3-2. 네트워크 용량 증설

기본 제공되는 네트워크 용량 이상의 성능이 필요한 경우, 증설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10Mbps 단위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나의 서비스 관리 내 **[1:1 문의 게시판]**을 통해 아래 양식으로 접수하면 상담 후 처리가 진행됩니다.
[약정 네트워크 신청 양식]
- 서비스 ID :
- 서비스명 :
- 약정네트워크 증설 용량 : (예: 10Mbps)

-----

## 4. 보안 및 백업 관리

단독웹호스팅은 사용자가 직접 서버에 접속하지 않아도 `나의 서비스 관리` 페이지에서 기본적인 보안과 백업 관리가 가능합니다.

### 4-1. 보안 기능 설정

서버 방화벽은 기본으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관리자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은 추가 보안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IP 차단 설정**: 특정 IP의 사이트 접근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 **폴더 쓰기 권한 설정**: 보안이 필요한 폴더의 쓰기 권한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4-2. 백업 및 복원

  - 단독웹호스팅은 **7일간의 DATA/DB 자동 백업**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 `나의 서비스 관리`의 백업/복원 메뉴를 통해 원하는 시점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 <Highlight>단, 자동 백업 외에 중요한 데이터는 만약을 대비해 FTP를 통해 주기적으로 직접 백업하는 것을 권장합니다.</Highlight>

-----

## 5.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단독웹호스팅과 서버호스팅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1. **관리 주체**와 **권한**입니다. 단독웹호스팅은 카페24가 서버를 관리해주고 사용자는 웹 관리 페이지만 이용하는 '관리형 서비스'입니다. 반면, 서버호스팅은 사용자에게 `root` 권한을 제공하여 서버의 모든 부분을 직접 관리하는 '비관리형 서비스'입니다.

### Q2. 트래픽이 약정 용량을 초과하면 사이트가 차단되나요?

A2. 아니요, 차단되지 않습니다. 단독웹호스팅은 약정된 네트워크 용량을 초과해도 사이트가 중단되지 않으며, 초과분에 대해서만 월말에 후불로 비용이 청구되어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 Q3. 여러 개의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나요?

A3. 독립된 여러 개의 사이트를 운영할 수는 없습니다. 단독웹호스팅은 하나의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대신, 고객님께서 보유하신 여러 개의 대표 도메인(최대 30개)을 하나의 사이트에 모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ycompany.com이 대표 사이트일 때, 마케팅을 위해 등록한 my-event.com이나 국문용 mycompany.co.kr 도메인으로 접속하는 방문자도 모두 동일한 mycompany.com 사이트로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
import Head from '@docusaurus/Head';

<Head>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context": "[https://schema.org](https://schema.org)",
      "@type": "FAQPage",
      "mainEntity": [
        {
          "@type": "Question",
          "name": "단독웹호스팅과 서버호스팅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cceptedAnswer": {
            "@type": "Answer",
            "text": "가장 큰 차이는 '서버 관리 주체'와 '관리자(root) 권한'입니다. 단독웹호스팅은 카페24가 서버를 관리해주는 편리한 서비스이며 root 권한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반면 서버호스팅은 고객이 root 권한을 가지고 직접 서버 전체를 관리하는 서비스입니다."
          }
        },
        {
          "@type": "Question",
          "name": "트래픽이 약정 용량을 초과하면 사이트가 차단되나요?",
          "acceptedAnswer": {
            "@type": "Answer",
            "text": "아니요, 차단되지 않습니다. 단독웹호스팅은 약정된 네트워크 용량을 초과해도 사이트가 중단되지 않으며, 초과분에 대해서만 월말에 후불로 비용이 청구되어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
        },
        {
          "@type": "Question",
          "name": "하나의 단독웹호스팅 계정으로 여러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나요?",
          "acceptedAnswer": {
            "@type": "Answer",
            "text": "하나의 사이트에 여러 도메인(최대 30개)을 연결할 수 있어, 안정적인 단일 사이트 운영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
      ]
    }
  </script>
</H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