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퀵서버호스팅 네트워크 및 방화벽 설정

이 가이드는 퀵서버호스팅에서 방화벽을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별도의 도구는 제공되지 않으므로, 리눅스와 윈도우 OS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활용한 수동 설정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1. 네트워크 정보 확인하기

방화벽 설정에 앞서, 내 서버에 할당된 IP 주소 등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 나의 서비스 관리 페이지에서 할당된 공인 IP, 게이트웨이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버에 접속하여 아래 명령어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리눅스
    ip addr show
    
    # 윈도우
    ipconfig /all
    

2. 방화벽 설정

① 리눅스: iptables 또는 firewalld

  • iptables: 전통적인 리눅스 방화벽 도구입니다. 기본 정책을 차단(DROP)으로 설정한 뒤, 필요한 서비스 포트(SSH: 22, 웹: 80, 443 등)만 선별적으로 허용(ACCEPT)하는 것이 기본 규칙입니다.
    # 예시: 80번 포트 허용
    iptables -A INPUT -p tcp --dport 80 -j ACCEPT
    # 설정 저장 (OS마다 다름)
    service iptables save
    
  • firewalld: 최신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좀 더 쉽게 규칙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예시: http 서비스 영구적으로 허용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firewall-cmd --reload
    

② 윈도우: Windows Defender 방화벽

  1.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Windows Defender 방화벽으로 이동합니다.
  2. '고급 설정'을 클릭한 뒤, '인바운드 규칙'에서 '새 규칙'을 만듭니다.
  3. '포트'를 선택하고, 허용하려는 TCP 또는 UDP 포트 번호(예: 80)를 입력합니다.
  4. '연결 허용'을 선택하고 규칙이 적용될 프로필(공용, 개인 등)을 지정하여 규칙 만들기를 완료합니다.

4. 중요: 원격 접속 포트 차단 주의사항

방화벽 설정 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원격 접속 포트를 차단하지 않는 것입니다.

  • 리눅스 SSH 포트: TCP 22번
  •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 포트: TCP 3389번

만약 이 포트들을 차단하면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없게 됩니다. 이 경우, '나의 서비스 관리'에서 제공되는 IPMI 기능을 이용해 복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