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서버호스팅 OS 기본 설정 가이드
이 가이드는 퀵서버호스팅을 처음 받은 후 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필수 초기 설정 과정을 안내합니다.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하는 방법부터 '나의 서비스 관리'의 강력한 제어 기능, 그리고 OS 내부의 기본 명령어까지 차근차근 따라 해보세요.
1. 서버 원격 접속하기 (최초 접속)
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첫 단계는 내 컴퓨터에서 서버로 원격 접속하는 것입니다.
① 리눅스 서버 (SSH 접속)
SSH(Secure Shell)는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안전하게 서버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 SSH 접속 프로그램(Windows: PuTTY 또는 PowerShell, macOS/Linux: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 서버 신청 시 발급받은 IP 주소와 계정 정보로 아래와 같이 접속을 시도합니다.
ssh [사용자아이디]@[서버IP주소] -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을 완료합니다.
② 윈도우 서버 (원격 데스크톱 접속)
윈도우의 그래픽 사용자 환경(GUI)에 직접 접속하여 마우스로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 PC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 '컴퓨터' 입력란에 서버 IP 주소를 입력하고 연결을 클릭합니다..
- 발급받은 Administrator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접속이 완료됩니다.
2. '나의 서비스 관리' 활용하기 (웹 제어판)
서버 OS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도, 카페24 '나의 서비스 관리' 웹 페이지에서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① 서비스 현황 확인 및 모니터링
- 경로:
나의 서비스 관리 > 호스팅 관리 > 기본 관리 - 기능:
- 서비스 사용현황: 서버 사양, 만료일 등 기본 정보를 확인합니다.
- 사용량 모니터링: 트래픽, CPU, 메모리 사용량을 그래프로 확인하여 서버 상태를 점검합니다.
② 원격 서버 제어 (IPMI / iLO)
서버가 다운되거나 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할 때, IDC에 가지 않고도 서버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경로:
나의 서비스 관리 > 서버관리 > IPMI / iLO 서비스 관리 - 기능:
- 원격으로 서버 전원 켜기/끄기/재시작
- 서버의 현재 상태 화면을 직접 보는 '원격 콘솔' 기능
- 사용법: 최초 사용 시 접속 IP를 할당받은 후, 제공되는 접속 정보로 IPMI/iLO 전용 페이지에 로그인하여 사용합니다.
3. 서버 OS 내부 기본 작업
서버에 원격 접속한 후,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몇 가지 기본 작업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① 서비스 재기동
웹서버(Apache 등)나 DB서버(MySQL 등)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재시작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 (systemd 환경)
# 아파치 웹서버 재시작 예시 systemctl restart apache2 또는 systemctl restart httpd -
윈도우
실행창에서services.msc를 입력하여 '서비스' 창을 엽니다.- 원하는 서비스를 찾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후 '다시 시작'을 선택합니다.
② 서버 시간 동기화
로그 기록의 정확성과 보안을 위해 서버 시간을 표준 시간과 일치시키는 작업은 매우 중요합니다.
-
리눅스
timedatectl set-ntp true -
윈도우 (관리자 권한 명령 프롬프트)
w32tm /resy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