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메일 스팸 설정 및 관리 가이드
원치 않는 스팸메일을 차단하고, 내가 보낸 메일이 스팸함으로 분류되지 않도록 SPF 레코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수신 메일 필터링과 발신 메일 신뢰도 향상을 위한 모든 방법을 확인하세요.
1. 들어오는 스팸 차단하기 (수신 메일 관리)
① SPF 스팸 필터 사용하기 (권장)
- 기능: 발신자 정보가 위조된 것으로 의심되는 메일을 자동으로 스팸메일함으로 옮겨주는 가장 효과적인 기능입니다.
- 경로:
웹메일 사용자 페이지 > 환경설정 > 스팸설정 > 스팸메일 걸러내기 - 설정: 'SPF필터' 와 '스팸메일 걸러내기' 항목을 모두 '사용함'으로 설정하는 것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② 특정 발신자/단어 차단하기 (블랙리스트)
- 경로:
웹메일 사용자 페이지 > 환경설정 > 스팸설정 > 메일수신 허용/거부 - 설정: '수신거부메일' 탭에서 특정 이메일 주소(
spam@spammer.com), 특정 도메인(@spammer.com), 특정 IP 주소를 등록하여 해당 주소에서 오는 모든 메일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2. 정상 메일이 스팸함으로 갈 때 해결 방법
① 가장 빠른 해결 방법: 허용 및 정상 신고
중요한 메일이 스팸함으로 갔다면, 아래 두 가지 조치를 함께 실행해주세요.
- 수신 허용 목록에 추가:
환경설정 > 스팸설정 > 메일수신 허용/거부의 '수신허용메일' 탭에서 정상 메일을 보내는 사람의 주소(예:client@company.com)를 등록합니다. - 정상 메일로 신고: 스팸메일함으로 이동하여, 정상 메일을 선택한 뒤 상단의
정상메일신고버튼을 클릭합니다.
3. 내가 보낸 메일이 스팸으로 가지 않게 하기 (SPF 설정)
내가 보낸 메일이 상대방의 스팸함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메일 신뢰도를 높이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설정입니다.① 왜 내 메일이 스팸 처리될까요?
스팸 여부는 전적으로 메일을 받는 상대방 서버의 정책에 따라 결정됩니다. 발신자는 정확한 사유를 알기 어렵지만, 대부분의 경우 SPF 레코드가 없거나 잘못되어 있을 때 스팸으로 처리됩니다.
② SPF 레코드란? (이메일 신분증)
- 비유: 내 도메인 이름으로 메일을 보낼 수 있는 허가된 서버 목록을 알려주는 **'신분증'**과 같습니다. 수신 측 메일 서버는 이 신분증을 보고 "아, 이 메일은 위조되지 않은 정상 메일이구나"라고 판단합니다.
SPF, 조금 더 쉽게 알아보기 (우체국 비유)
-
문제 상황: 누구나 편지 겉면에 보내는 사람을 '청와대'라고 쓸 수 있듯, 스패머는 이메일의 보내는 주소를
bank@mybank.com처럼 쉽게 위조할 수 있습니다. -
SPF의 역할: SPF는 내 도메인(
mycompany.com)이 "우리 회사 이름의 공식 우편물은 오직 '카페24'라는 우체국을 통해서만 보냅니다." 라고 인터넷 세상에 공개적으로 등록해두는 것과 같습니다. -
작동 방식:
- 메일을 받는 서버(예: Gmail)는
mycompany.com이름으로 온 메일을 받습니다. - Gmail 서버는
mycompany.com의 SPF 기록을 확인합니다: "어, 이 도메인은 '카페24' 우체국에서만 메일을 보낸다고 등록되어 있네?" - Gmail 서버는 실제 메일이 온 곳을 확인합니다: "이 메일도 '카페24' 우체국에서 왔군."
- 결론: "보내는 사람과 실제 보낸 곳이 일치하네. 이건 진짜 메일이다." → 받은편지함으로 배달합니다.
- 메일을 받는 서버(예: Gmail)는
-
스팸을 막는 원리: 만약 스패머가 주소를 위조해서 다른 곳에서 보냈다면?
- "보내는 사람은
mycompany.com인데, 실제 메일은 이상한 '스팸' 우체국에서 왔네? 이건 가짜다." → 스팸메일함으로 보내거나 차단합니다.
- "보내는 사람은
③ 올바른 SPF 레코드 설정 방법
나의 서비스 관리 > 도메인 관리 > DNS 관리메뉴로 이동합니다.- TXT 레코드를 추가하거나, 기존 TXT 레코드에 아래 SPF 값을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v=spf1 ip4:183.110.224.0/24 ip4:175.126.146.0/24 ip4:112.175.12.0/24 ip4:118.219.233.0/24 ~all
- 주의: 위 값은 큰따옴표("")를 제외하고, 오타나 불필요한 공백 없이 그대로 복사하여 입력해야 합니다.
④ SPF 설정 후에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 SPF 레코드를 올바르게 설정했는데도 특정 상대방에게만 계속 스팸으로 처리된다면, 이는 상대방 메일 서버의 자체적인 스팸 정책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 이 경우, 상대방(메일 수신자)에게 직접 연락하여 "메일이 스팸 처리되니 확인 후 수신 허용 목록에 추가해달라"고 요청해야 합니다.